1877-0415

물의 성질

초력수 - 리바이탈 워터 본
물의 성질 > 초력水란? > 물의 성질

■ 물이란 혈액에 의해서 몸 전체에 영양분과 산소를 세포에 공급하고, 신진대사를 거친 후에 필요 없는 노폐물을 체외로 배출 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물과 노화와의 수분 관계

가. 물과 노화의 관계

모든 생물과 동물은 세포가 그 내에 수분 함유를 하지 못하면 세포의 수축으로 주름이 발생되고, 결국은 분해가 됩니다.

나. 연령별 수분의 함량

구분 출생 직후 출생 후 3개월 10~20세 50세 70세
77 70 65 60 55
77 70 60 45 45

다. 인체는 하루에 물을 어느 정도 섭취를 해야 하는가요?

연구결과 건강한 성인은 하루에 2~2.5L 이상 섭취해야 합니다.

2. 물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가. 물은 용매로써 세포에 영양분과 산소를 세포에 공급 합니다. 나. 노폐물을 체외로 배출 합니다. 다. 체온과 PH를 조절 합니다.

3. 물(H20)을 결정짓는 요소는 무엇 인가요?

좋은 물을 결정짓는 것은 미네랄, 경도, 클러스터, 환원입니다.

4. 미네랄이란?

가. 미네랄은 우리 몸의 신진대사의 촉진과 억제, 골격, 혈액, 혈압, 체액이나 신경계 까지 관여를 하지 않는 곳이 없이 효소를 자극하여 원만한 신진대사부터 건강한 신경계 까지 관여 하는 것입니다.
물의 미네랄은 칼슘, 칼륨, 마그네슘, 나트륨, 철, 망간 등의 무기질 물질입니다.

나. 인체에 필요한 미네랄은 어느정도 인가요?

보통1g에 30~200mg 정도 있는데, 그 중 100mg 정도가 좋은 편입니다.
우리나라는 산악지대로 물의 체류기간이 짧아 미네랄이 적당한 연수입니다. 좋은 물만 잘 섭취를 해도 건강하며, 좋습니다.

다. 적정 미네랄인지를 어떻게 알 수 있나요?

물맛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그것은 물을 마셔보면 대강 알 수 있습니다. 물맛이 좋으면 적정량의 미네랄이 물속에 함유 되어 있는 것으로 보면 됩니다. 좋은 물맛은 목 넘김이 좋으며, 담백하고 순한 느낌 이며, 미네랄이 많으면 짠맛, 쓴맛을 나타내고, 미네랄이 적으면 싱겁다는 느낌과 깊이가 없고, 물을 더 찾게 되는 느낌입니다.

라. 물의 미네랄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뭐가 있을까요?

신진대사가 좋아 집니다. 즉, 소화가 잘되 변비, 설사가 사라지고, 고혈압 및 저혈압이 없어지며, 혈액이 맑아지고, 손발저림, 결림, 저림 신경계의 조절을 통한 수면 등, 피부건강, 뼈건강, 심장질환, 세포의 기능회복, 등 매우 다양 합니다.

5. 물의 경도란?

가. 경도란?

통상 칼슘경도와 마그네슘경도를 합한 것을 말하며, 우리나라는 100, 일본은 20~80, 유럽은 200~400 정도이며, 경도가 1리터당 0~75(연수, 단물) 가 좋습니다. 그래서 인지 일본은 물이 좋은나라 라고도 하며, 장수국가 라고도 하죠. 이유는 여기에 있습니다. 75이상이면 약간 센물, 300이상이면 경수로 아주 센물입니다.

나. 그렇다면 우리는 경도가 연수인지를 어떻게 알 수 있나요?

그것은 간단하게 물로 씻어보면 알 수 있습니다. 머리를 감을 때 비누거품이 잘 안 나거나, 감고 난 후 머리카락이 뻣뻣하거나, 서로 엉키거나 하면 경수(센물)에 가깝고, 반대로 머리카락이 부드럽거나, 엉키지 않으면 연수 이지요. 인체는 경도가 낮을수록 좋다고 보시면 좋습니다. 또 일시경도라고 있는데 난, 경도가 있는 물을 일시적으로 끓여서 마시면 경도가 떨어지는 것입니다. 경도가 크면 마셨을 때 떫은맛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다. 경도가 미치는 영향은 뭐가 있나요?

경도가 낮으면 세척력이 강해집니다. 경도가 크면 경화 미네랄(경화칼슘, 경화 마스네슘)의 침전물이 생기며, 물을 사용 하는 기기에 수명단축 및 스케일 형성 합니다. 배관의 때가 생기고 녹이 쓰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물의 표면 장력이 커지는 거죠. 반대로 경도가 적으면 빨래나 설거지, 물 때, 샤워 후 몸이 따갑거나 땡기지 않습니다. 경도가 낮으면, 몸이 뽀드득 해지며 개운한 느낌하며, 탁도(물의 맑음)가 올라가고, 물의 침전물이 적어지는 현상도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물의 표면장력 때문입니다.

6. 물의 클러스터(cluster)란?

가. 물의 클러스터란?

물은 H20의 몇 개의 덩어리로 뭉쳐져 있는데, Cluster란 입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말로, 적은 클러스터란? 통상적인 이미지로 5각고리(상상형), 6각고리(상상형)등의 고리모양의 수소결합 형태입니다.

[비정형의 큰 모형 상상 클러스터]

[정형의 적은 모형 상상클러스터]

[비정형의 큰 클러스터]

[정형의 적은 클러스터]

나. 클러스터가 적을수록 세포의 막, 침투성에 영향을 줍니다.

좋은 물이란 미네랄이 100mg 정도이면 미네랄 물로써 좋은 물에 해당이 됩니다. 물의 입자(클러스터)가 크면 세포에 미네랄이 침투를 해서 들어가 효소를 자극하여 촉매 역할을 하는데 들어가지를 못하는 겁니다. 즉 세포에서 흡수를 못하는 거죠. 좋은 물이라도 클러스터가 크면 그 역할을 하기는 어렵게 되는 겁니다.

[적은 클러스터로 인한 세포막의 침투]

다. 클러스터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 인가요?

물의 역할은 영양소와 산소를 혈액과 함께 세포에 전달 하는게 목적인데, 클러스터가 커 버리면은 물속에 있는 미네랄 등이 세포에 흡수를 시킬 수 없기 때문에 효소를 자극 하지 못 함으로써 미네랄 고유의 임무를 못 하게 됩니다.

7. 좋은 물이란? 무엇 일까요?

가. 좋은 물이란?

미네랄은 1g당 100mg 이고, 낮은 경도와 적은 클러스터 즉, 5각 또는 6각 고리형의 물이 좋은 물이라 볼 수 있습니다. 미네랄은 골격, 혈액, 혈압, 체액이나 신경계 까지 관여를 하기 때문입니다.

나. 환원수로써의 역할

환원수란 물에 화학약품을 사용함이 없이 물 고육의 여러 가지 효과를 얻는 현상으로 대표적 것이 활성산소의 소거, 위장내의 이상발효 개선, 노화방지, 세포조직개선 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모기가 물렸을 때 물만 발라도 소독이 되어 가려움증이 사라지는 효과 등도 이에 해당 됩니다.

자료발췌 : 1. 강릉원주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논문집, 제23권 제1호 (Vol. 23, No.1), 2017년 12월 통권 제37호)
2. 물의 과학화 및 제품화 동향(2005.1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바로 상담

빠른 상담을 원하시는 분은 전화상담 가능합니다! 언제나 친절하고 신속한 서비스